만다라 뜻(의미)과 상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 만다라의 뜻(의미) |
|||
|
만다라는 행자가 명상을 통하여 우주의 핵심과 합일하고자 하는 깨달음의 안내도이다.산스크리트어로 본질(mandal) + 소유(la) 로 이루어진 말이다. 인도나 티베트, 네팔 근교에서 주로 활성화 되었으나 그 문양의 특징적 형태들은 전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모두 나타나고 있다. 한국에서도 전통문양을 보면 연꽃문양과 여러 대칭성 문양의 형태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멕시코 고대문명의 달력이라든지 기독교 문화에서도 만다라적 특성을 가진 그림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것은 인류의 오래된 종교적 상징 중 하나의 형태라고 볼 수 있다. |
||
밀교에서는 깨달음의 경지를 도형화한 것을 일컬었다. 그래서 윤원구족(輪圓具足)으로 번역한다. 윤원구족이란, 낱낱의 살(輻)이 속바퀴측(?)에 모여 둥근 수레바퀴(圓輪)를 이루듯이, 모든 법을 원만히 다 갖추어 모자람이 없다는 뜻으로 쓰인다 티벳 만다라의 구성은 원과 사각형을 기본으로 하며, 자기 삶의 중심을 발견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영원성과 역동성을 암시하기도 한다. |
|||
▣ 미술치료에서 본 만다라 |
|||
미술치료에서 만다라가 사용되는 역사를 보면, 분석심리학자인 칼 융 박사에 의해 처음으로 도입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칼 융 박사는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함께 정신의학의 양대 산맥으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함께 연구하기도 하였으나 후에 프로이트와의 의견 차이로 따로 나와 무의식을 기본으로 하는 분석심리학설을 수립하였습니다. 칼 융은 분석 심리학에서 무의식을 분석하는데 많은 중점을 두었는데 분석 중에 만다라와 같은 문양들이 많이 나타나며, 그것이 조화되어 가면서 내담자의 상태도 호전되는 것을 보면서 만다라에 대한 분석 및 활용을 연구했습니다. 융 자신도 만다라 그림들을 그리면서 내적 균형을 잡아가기도 하였으며 그것을 의식과 무의식의 통합과정으로서 진정한 자신을 찾아가는 중요한 과정으로 보았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미술치료, 놀이, 수행 및 안정 등을 위해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술치료에서 만다라 색칠의 그 의미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내면으로의 회귀와 만남 그리고 자아실현 이라는 사람이라면 꼭 필요한 삶의 단초를 충족시키는데 있습니다.
이런 기본적인 사람의 욕구가 충족 됨으로써 만다라 색칠하기는 그 효과가 여러 방면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 만다라의 상징 |
|||
⊙ 만다라 구성 5색 |
|||
백색: 청정과 영의 빛, 대일여래의 근본색, 안정과 액운방지 |
|||
⊙ 연꽃의 상징 |
|||
연꽃은 만다라에서 우주의 중심을 상징하며 영원의 진리가 빛나는 자리이며 만개한 연꽃은 우주만물의 창조로서 중심에서 바깥으로 확산되는 에너지의 발현이기도 하다. |
|||
⊙ 원의 상징 |
|||
|
|||
⊙ 5대 존재요소 |
|||
|
|||
⊙ 팔길상 |
|||
|
댓글목록
혜원경희님의 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신의제자님의 댓글

잘 몰랐던 것들을 감사히 배워 갑니다 고맙습니다 ^^
JYXO님의 댓글

들꽃들풀님의 댓글

고맙습니다
happyemily님의 댓글

감사합니다
향기로운철갑님의 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평온2님의 댓글

조금씩 배워가겠습니다.
기억님의 댓글

열심히 배워 보겠습니다
담대님의 댓글

난원님의 댓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모자모자님의 댓글

좋은정보 갑사합니다.
saliha님의 댓글

만다라의 의미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었는데, 좋은 정리 감사해요. 이해가 쉽네요^^
무애행님의 댓글

아주 멋진 사이트를 운영하시네요. 성불하세요.
영원희님의 댓글

좋은 정보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수경지님의 댓글

좋은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만다라에 관심이 많아서 가입을 헸는데 만다라는 정말 멋진거 같아요